JavaScript

javaScript-전역 변수의 문제점(변수의 생명 주기)

용용it 2023. 3. 2. 20:33

지역 변수의 생명 주기

변수는 선언에 의해 생성되고 할당을 통해 값을 갖는다. 그리고 언젠가 소멸한다.

즉, 변수는 생물과 유사하게 생성되고 소멸되는 생명 주기가 있다.

 

변수에 생명 주기가 없다면 한번 선언된 변수는 프로그램을 종료하지 않는 한 영원히 메모리 공간을 점유하게 된다.

 

변수는 자신이 선언된 위치에서 생성되고 소멸한다.

전역 변수의 생명 주기는 애플리케이션의 생명 주기와 같다.

 

하지만 함수 내부에서 선언된 지역 변수는 함수가 호출되면 생성되고 함수가 종료하면 소멸한다.

 

function foo(){
	var x = 'local';
    console.log(x); // local
    return x;
}

foo();
console.log(x); // ReferenceError: x is not defined

변수 선언문은 선언문이 어디에 있든 상관없이 가장 먼저 실행된다.

즉, 변수 선언은 코드가 한 줄씩 순차적으로 실행되는 시점인 런타임에 실행되는 것이 아니라 런타임 이전 단계에서 자바스크립트 엔진에 의해 먼저 실행된다.

 

하지만 엄밀히 말하면 이것은 전역 변수에 한정된 것이다. 

함수 내부에서 선언한 변수는 함수가 호출된 직후에 함수 몸체의 코드가 한 줄씩 순차적으로 실행되기 이전에 자바스크립트 엔진에 의해 먼저 실행된다.

 

위의 코드에서 foo 함수를 호출하면 함수 몸체의 다른 문들이 순차적으로 실행되기 이전에 x 변수의 선언문이 자바스크립트 엔진에 의해 가장 먼저 실행되어 x 변수가 선언되고 undefined로 초기화된다.

 

그 후, 함수 몸체를 구성하는 문들이 순차적으로 실행되기 시작하고 변수 할당문이실행되면 x 변수에 값이 할당된다. 

그리고 함수가 종료하면 변수도 소멸되어 생명주기가 종료된다.

 

따라서 함수 내부에서 선언된 지역 변수 x는 foo 함수가 호출되어 실행되는 동안에만 유효하다.

즉, 지역 변수의 생명 주기는 함수의 생명 주기와 일치한다.

 

 

function foo(){
	// 변수 x 생성 
	var x = 'local';    // 변수 x에 값 할당 
	console.log(x);
	return x;
	// 변수 x 소멸
}

함수 몸체 내부에서 선언된 지역 변수의 생명 주기는 함수의 생명 주기와 대부분 일치하지만 지역 변수가 함수보다 오래 생존하는 경우도 있다.

 

 

var x = 'global';

function foo(){
	console.log(x); // A
	var x = 'local';
} 

foo();
console.log(x); // global

foo 함수 내부에서 선언된 지역 변수 x는 A의 시점에 이미 선언되었고 undefined로 초기화되어 있다.

따라서 전역 변수 x를 참조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 변수 x를 참조해 값을 출력한다.

즉, 지역 변수는 함수 전체에서 유효하다.

 

단, 변수 할당문이 실행되기 이전까지는 undefined 값을 갖는다.

 

 A는 undefined가 나온다.

foo 함수 내부에서 호이스팅에 의해 x가 선언이 되었지만 undefined로 초기화 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foo 함수 내부에서의 console.log(x); 는 undefined가.

전역 변수 x 에는 'global'이 선언이 되었기 때문에 'global'이 나온다.

 

이처럼 호이스팅은 스코프를 단위로 동작한다.

 

전역 변수의 호이스팅은 전역 변수의 선언이 전역 스코프의 선두로 끌어 올려진 것처럼 동작한다.

따라서 전역 변수는 전역 전체에서 유효하다.

 

지역 변수의 호이스팅은 지역 변수의 선언이 지역 스코프의 선두로 끌어 올려진 것처럼 동작한다.

따라서 지역 변수는 함수 전체에서 유효하다.

 

즉, 호이스팅은 변수 선언이 스코프의 선두로 끌어 올려진 것처럼 동작하는 자바스크립트 고유의 특징을 말한다.

 

 

전역 변수의 생명 주기

함수와 달리 전역 코드는 명시적인 호출 없이 실행된다.

즉, 전역 코드는 함수 호출과 같이 전역 코드를 실행하는 특별한 진입점이 없고 코드가 로드되자마자 곧바로 해석되고 실행된다.

함수는 함수 몸체의 마지막 문 또는 반환문이 실행되면 종료한다.

 

하지만 전역 코드에는 반환문을 사용할 수 없으므로 마지막 문이 실행되어 더 이상 실행할 문이 없을 때 종료한다.

 

var 키워드로 선언한 전역 변수는 전역 객체의 프로퍼티가 된다.

이는 전역 변수의 생명 주기가 전역 객체의 생명 주기와 일치한다는 것을 말한다.

 

브라우저 환경에서 전역 객체는 window이므로 브라우저 환경에서 var 키워드로 선언한 전역 변수는 전역 객체 window의 프로퍼티다.

 

전역 객체 window는 웹페이지를 닫기 전까지 유효하다. 

따라서 브라우저 환경에서 var 키워드로 선언한 전역 변수는 웹페이지를 닫을 때까지 유효하다.

 

즉, var 키워드로 선언한 전역 변수의 생명 주기는 전역 객체의 생명 주기와 일치한다.

 

// 전역 변수 x 생성
var x = 'global';    // 전역 변수 x에 값 할당

function foo(){
	// 지역 변수 x 생성
	var x = 'local';     // 지역 변수 x에 할당
	console.log(x);
	return x;
 	// 지역 변수 x 소멸
}

foo();
console.log(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