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

5.html

용용it 2022. 11. 17. 02:07

원하는 태그를 일일히 <>를 타이핑 하지 않아도 원하는 태그를 입력하고 탭(tab)을 누르면 자동으로 입력이 된다..!

 

특정 태그를 다수 입력하는 emmet명령어

ex) <br>을 3번 입력하고 싶으면

br*3 tab

 

만약, ol태그 안에 li태그를 4번 넣고싶다. 그러면

ol>li*4 tab

<ol>

    <li></li>

    <li></li>

    <li></li>
    <li></li>

</ol>

가 출력이 된다.

 

주석 : 개발자에게만 보이는 텍스트

<!--""--> 코드는

윈도우 기준 ctrl+/ 단축키 입력으로 빠르게 입력할 수 있다.

 

 

<b>  글자를 굵게 표시.

<strong> 중요한 내용임을 명시.

<i> 글자를 기울여서 표시.

<em> 강조할 내용임을 명시.

 

첨자 태그

<sup> 위 첨자 지수, 서수
<sub> 아래 첨자 각주, 변수, 화학식

ex) x<sup>3</sup> 는

x3라는 결과를 출력한다.

 

ex) H<sub>2</sub>O 는

H2O라는 결과를 출력한다.

 

주의. 단순히 작은 작은 글자를 올리거나 내릴 때 사용해서는 안된다. 

         그런 경우에는 css사용.

 

 

 

밑줄 태그와 취소선 태그

<u> 철자 오류 표시 예전에는 밑줄 용도로 사용
<s>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은 정보 표시

u태그는 과거에는 밑줄을 긋는 용도로 사용되었으나

현재에는 css와 함께 사용되어 철자 오류 등을 강조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s태그는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은 정보를 취소선과 함께 나타낸다.

 

 

 

인용문 관련 태그

 

다른 사이트에서 그 내용을 인용하거나 그 출처를 남길 때 사용하는 태그.

<blockquote> 비교적 긴 인용문에 사용 cite 속성으로 출처 표시
<cite> 저작물의 출처 표기 제목을 반드시 포함
<q> 비교적 짧은 인용문에 사용 cite 속성으로 출처 표시
<mark> 인용문 중 하이라이트 또는 사용자 행동과 연관된 곳 표시

 

<blockquote cite> 태그  + cite 속성

ex) <blockquote cite="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HTML/Element/blockquote">

 

<cite> 태그 

ex) <cite>&lt;blockquote&gt;: 인용 블록 요소</cite> from MDN

인용 블록 요소 이 부분을 제목.

 

 

정리하면,

한 사이트에서 인용문을 사용했을 때, 

 

긴 인용문이면 <blockquote> 태그 + cite 속성을 이용하여 인용문과 출처를 표시한다.

비교적 짧은 인용문이면 <q> 태그 + cite 속성을 사용하여 짧은 인용문과 출처를 표시한다.

 

추론 : 같은 사이트에서 긴 인용문과 짧은 인용문을 사용하여 출처를 표시하려고 하면.

          태그만 다를 것이다.

 

ex) <blcokquote site:"https://blog.naver.com/testexample/534534354261"> 

      <q site:"https://blog.naver.com/testexample/534534354261">

 

 

그리고, 인용문의 제목의 출처를 남길 때에는 

<cite> 태그를 사용하여 제목과 출처를 표시한다.

 

 

<mark> 태그는 css와 병행하여 사용하고

사용자의 행동과 관련있는 부분이나 인용문에서 주시해야 할 부분을 표시한다.

 

 

<abbr> 태그는 준말/머릿글자 표시를 하기 위해 사용한다

 

ex)<abbr title="HyperText Markup Language">HTML</abbr>

HTML

 

 

 

---------------------------------------------------------------------------------------

 

이미지 삽입

 

앞에서 배운 <img> 태그 부가 속성 설명.

src : 원본 이미지 파일 경로를 뜻한다.

alt : 원본파일이 무효될 때 대체되는 텍스트이다.

title : 툴팁으로 alt 속성의 대체제나 반복 되어서는 안된다.

width : 너비(px)

height : 높이(px)

 

---------------------------------------------------------------------------------------

 

테이블(표) 태그

<table> 테이블을 생성하는 태그.

<caption> 표 제목 또는 설명을 하고 선택적으로 있어도 되고 없어도 된다.

<tr> 테이블의 행을 뜻한다.

<td> 테이블의 데이터 셀을 뜻한다.

     <td> 태그에는 colspan(열 병합), rowspan(행 병합) 속성이 있다.

 

<thead> 테이블에서 헤더 콘텐츠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을 때 사용.

<tbody> 테이블에서 내용 콘텐츠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을 때 사용.- 본 내용을 담는다.

<tfoot> 테이블에서 푸터 콘텐츠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을 때 사용.

<th>테이블에서 제목이 되는 헤더 셀을 정의할 때 사용,

 

<thead> 태그는 <tbody> 앞에 와야한다.

<tfoot> 태그는 <tbody> 뒤에 와야한다.

<th> 태그에는 scope 속성으로 row(행을 위한 헤더 셀임을 명시),col(열을 위한 헤더 셀임을 명시.)

 

<colgroup> 태그는 테이블에서 서식 지정을 위해 하나 이상의 열을 그룹으로 묶을 때 사용.

<colgroup> 태그 내부에 <col> 태그 요소를 포함하여 열마다 각각 다른 스타일 적용 가능.

 

<colgroup> 요소는 <table> 요소의 자식 요소로,

모든 <caption> 요소보다 뒤에 위치해야 하며 

모든 <thead>, <tbody>, <tfoot>, <tr> 요소보다는 앞에 위치해야 한다.

 

---------------------------------------------------------------------------------------

 

링크

<a> 태그 안의 target속성값들.

<a href="(연결할 주소)" target="(링크를 열 곳 옵션)">

 

target 속성값 

1. _self 현재창에서 링크를 연다.(기본값임) 

2. _blank 새 창에서 링크를 연다. (텍스트나 내부 이미지의 alt 등으로 명시해줄 필요가 있다.)

3. _parent  현재 프레임의 부모 프레임에서 새 웹페이지가 열린다.(iframe 사용시.)

4. _top 최상위 프레임에서 새 웹페이지가 열린다. (iframe 사용시.)

 

<address> 태그

주소 및 연락처 정보를 포함한다.

 href 값 앞부분에는 mailto:-이메일 링크 

                                tel: -전화번호 연결

 

ex)

<address>

    <a href="tel:010-0000-0000">

    <a href="mailto:ddddd@naver.com">

</address>

 

---------------------------------------------------------------------------------------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기

 

태그 설명 비고
<form> 정보를 제출하기 위한 태그들 포함 autocomplete 속성: 자동완성 여부(기본:on)
<input> 입력을 받는 요소 type 속성을 통해 다양화
<label> 인풋 요소마다의 라벨 for 속성값을 인풋 요소의 id와 연결. 인풋의 클릭 영역 확장
<button> 버튼 type속성에 submit(제출),reset(초기화),button(기본 동작 없음)

label 태그의 for 속성값을 input 태그의 id와 연결하면 input의 클릭 영역이 확장된다.

ex) <form>

       <label for="name">이름</label>

       <input id="name" name="my-name" type="text">

      </form>

 

결과:

가 나오는데, 이름을 눌러도 입력이 가능하게 된다.

 

 

 

폼 안의 요소들 그룹으로 묶기

태그 설명 비고
<fieldset> 폼 태그 내 입력요소와 라벨들을 그룹화 disabled 속성 : 포함된 일력요소 비활성화
<legend> 필드셋 요소의 제목 또는 설명  

 

 

인풋 태그

속성 설명 비고
placeholder 빈 칸에 보이는 안내문  
maxlength 최대 길이  
minlength 최속 길이  위반시 submit거부됨

만약 빈 칸에 보이는 안내문에 텍스트를 넣고 싶으면

<form>

  <label>예시</label>

  <input  placeholder="예시"

             maxlength="5">

</form>

이런 결과가 나온다. 

이번에는 for 속성값과 id 속성과 연결하지 않았기 때문에 예시 텍스트를 눌러도 빈칸이 눌리지 않는다.

 

 

숫자 관련 인풋 타입

속성 설명 비고
min 최소값 date등 타입마다 형식 다름
max 최대값 date등 타입마다 형식 다름
step 간격  

 

체크 관련 인풋 속성들

속성 타입 설명
checked 체크박스,라디오 체크됨 여부
name 라디오 옵션들의 그룹으로 사용됨
value 라디오 각 옵션마다 실제로 넘겨질 값

라디오타입 : 하나를 누르고 다른 하나를 누르려고 하면 둘다 눌리는 게 아닌

                     나중에 누른 것만 체크되는 타입

 

파일 인풋 속성들

속성 설명
accept 받아들일 수 있는 파일 형식
multiple 여러 파일 업로드 가능 여부

 

인풋 요소 공통(대부분) 속성

속성 설명
value 기본적으로 입력되어있는 디폴트 값 설정 가능
autofocus 자동으로 선택되어서 포커스 되어있음.
readonly 읽기만 가능하며,제출됨.
required 필수적으로 입력되어야함.
disabled 입력 불가, 제출 안됨.

 

<textarea> 태그

textarea의 속성

속성 설명 비고
cols 글자수 단위의 너비 기본값20
rows 표시되는 줄 수  

textarea 태그에서 기본 입력되어 있는 디폴트 값으로 설정하려면, 

<textarea>내용</textatea>을 입력하면 된다.

 

빈칸에 보이는 안내문을 사용하려면 placeholder 속성을 입력하면 된다. 

 

<textarea cols="20" rows="5"

   placeholder="예시">

</textarea>

 

 

 

 

옵션들을 사용하는 태그

 

태그 속성 설명
<select> multiple 다중 선택 가능. 드랍다운 대신 상자로 표시
<option> selected 선택됨
<option> value 실제로 전송될 값
<input> list 연결할 <datalist>의 id

<select>

     <option>선택1</option>

     <option>선택2</option>

     <option>선택2</option>

</select>

 

라는 결과가 나온다.

 

정도를 표현하는 태그 

<progress> 태그의 속성들

속성 설명 비고
max 최대값 기본:1
value 진행 수치 자바스크립트로 변경

 

 

<meter> 태그의 속성들

속성 설명 비고
min,max 최소값과 최대값  
low,high 전체 범위를 3등분하는 두 수치  
optimum 이상적인 값 3개의 구간 중 한 곳에 위치
value 실제 값  

 

예시 

<progress id="progressbar"

                 max="100">

</progress>

 

50%

 

 

---------------------------------------------------------------------------------------

 

<pre> </pre> 태그.

pre태그는 

 

미리 정의된 형식의 텍스트를 정의할 때 사용하며,

시스템에서 미리 지정된 고정폭 글꼴을 사용하여 표현되며, 

텍스트에 사용된 여백과 줄바꿈이 모두 그대로 화면에 나타난다.

 

장점 : 컴퓨터 코드 등을 html 문서에 그대로 표현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