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CS-UDP(User Datagram Protocol)
용용it
2023. 12. 15. 23:46
UDP?
UDP(User Datagram Protocol) ,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
UDP는 세계 통신표준으로 개발된 OSI 모형에서 4번째 계층인 전송 계층(Transport Layer)에서 사용하는 규약이다.
동일 계층에서 사용하는 또 다른 프로토콜로 TCP가 존재한다.
UDP는 간단하게 TCP의 모든 신뢰성 기능이 없다고 보면 된다.
받는 쪽에서 데이터를 제대로 받고 있는지 신경쓰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오류의 검사와 수정이 필요 없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수행할 것으로 가정한다.
TCP는 데이터를 주고 받을 양단 간에 먼저 연결을 설정하고 설정된 연결을 통해 양방향으로 데이터를 전송하지만,
UDP는 연결을 설정하지 않고 수신자가 데이터를 받을 준비를 확인하는 단계를 거치지 않고 단방향으로 정보를 전송한다.
따라서 UDP는 비연결형이라 부르며 TCP는 연결형이라 구분한다.
특징 및 장점
- 비연결형, 비신뢰성의 특징을 가진다. 즉, 데이터를 보낸다는 신호를 거치지 않고 일방적으로 데이터를 전달한다.
또한, 수신자가 데이터를 수신했는지 확인할 수 없다.
- TCP와 다르게 연결 설정 및 해제 과정이 존재하지 않으며, 혼잡 제어를 거치지 않아 TCP보다 속도가 빠르다.
- 패킷의 부가적인 정보가 적어(오버헤드가 적어) 네트워크의 부하가 감소할 수 있다.
단점
- UDP에는 스스로 속도제어를 하는 기능이 없다.
- 한 회선에서 몇몇 사람들이 UDP로 사용하면, 결국 소수에 의해 대역폭이 점유당해 다른 사람들이 통신을 못하는 상황이 빚어질 수 있다.
ex) 도메인 이름 서비스 (DNS), IPTV, 음성 인터넷 프로토콜 (VoIP), TFTP, IP 터널, 그리고 많은 온라인 게임 등